가재 가재 http://www.songyee.co.kr/ 우리나라와 일본 북해도에 주로 분포하는 가재는 가재과에 속하는 절족(絶足)동물이다. 새우와 게의 중간형으로 대하(大蝦)와 비슷한데 몸길이는 3~7cm가량이다. 맨앞의 큰 발에 집게 발톱이있고 뒷 걸음질을 잘하는 특성이 있다. 바위나 돌밑에 사는 게라는 뜻으로 한명은 석.. [전복마을]민속보감 2007.01.10
산양 산양 http://www.songyee.co.kr/ 산양은 몸통이 129~140cm 정도이며 높이는 약 70cm 정도이다. 겨울털은 회황갈색으로 등쪽의 정중앙 선은 암색이고 주둥이로부터 뒷머리에 이르는 부분은 혹색이다. 머리쪽과 입술은 회황색에 흑색이 섞여있다. 목에 흰색의 큰 반점이 있다. 높은산의 험한 바위나 절벽으로 둘러.. [전복마을]민속보감 2007.01.10
멧꿩 멧꿩 http://www.songyee.co.kr/ 멧꿩은 꿩과 달리 산속깊은 골짜기에 서식하며 꿩에 비해 덩치가 절반에 지나지 않고 회갈색이나며 나무 위에 잘앉으며 산열매 각종 벌레등을 잡아먹는다. 멧꿩은 들꿩이라고 부르며 일명 산꿩이라고도 한다. 육질은 담백하고 구수한 맛이 진하며 특유의 냄새가 난다. 멧꿩은.. [전복마을]민속보감 2007.01.10
돼지 돼지 http://www.songyee.co.kr/ 돼지 고기라 하면 비게를 연상할 정도로 지질이 많아 삽겹살에는 44%이상의 지질이 들어있다. 지질은 칼로리가 많아 에너지원으로 우수할 뿐 아니라 뇌의 지적활동에도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요소이다. 그것이 비타민 F라고도 불리는 필수 지방산이다. 그러나 과잉섭취시 비만.. [전복마을]민속보감 2007.01.10
호랑이 호랑이 http://www.songyee.co.kr/ 호랑이는 고양이과 포유동물로 몸통 길이가 2m정도이며 몸무게는 300~400kg정도 나가는 맹수이다. 등쪽은 암적황색이며 다리가 약간 남색이다. 등쪽에는 불규칙한 검은 무늬가 많이 있으나 앞다리 옆면에는 적다. 주둥이 끝은 암연피색이고 눈과 뺨밑에는 흰색이 뚜렷한 검은.. [전복마을]민속보감 2007.01.10
삵 삵 http://www.songyee.co.kr/ 몸통이 약 60cm가량되며 몸에는 부정확한 반점이 많은 것이 특징으로 고양이 보다는 훨씬 크다. 꼬리에 가로띠가 있으며 눈위, 코, 이마 양쪽에 흰무늬가 뚜렷하다. 발톱은 작고 매우 날카로우며 황백색이다. 배에는 다소 검은 황갈색의 반점이 있다. 야행성이지만 산간벽지에서.. [전복마을]민속보감 2007.01.10
나귀 나귀 http://www.songyee.co.kr/ 나귀는 살코기, 지방, 가죽, 머리, 젖을 약으로 쓴다. 검정나귀는 풍(風)으로 생긴 여러 질환에 좋다. 고기는 술을 빚어 먹기도 하며, 가죽은 아교를 만들어 먹는다. 나귀 기름은 오랜 귀머거리와 여러해된 학질과 전광(癲狂)으로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 [전복마을]민속보감 2007.01.10
고라니 고라니(보노루) http://www.songyee.co.kr/ 고라니는 뼈와 고기, 피를 약으로 쓴다. 산짐승 가운데 노루, 사슴, 고라니의 고기를 생것으로 먹을 수 있다. 생것으로 먹어도 노린내가 나지 않고 비리지도 않다. 사람에게 유익하고 생명에 아무런 해로움이없다. 그러므로 양생하는 사람도 이를 말려서 먹는다. 또 .. [전복마을]민속보감 2007.01.10
족제비 족제비 http://www.songyee.co.kr/ 족제비과에 속하는 야행성 포유동물로 전국의 농가근처등지에 서식 한다. 족제비 고기는 아이를 유산시키며 또 아이를 쉽게 낳게 한다. 고기를 가루내어 부스럼등에 바르면 효과가 좋다. ---------------------------------------------------------- http://www.blue-sea.co.kr/ [전복마을]민속보감 2007.01.10
소 소[쇠고기] http://www.songyee.co.kr/ 쇠고기는 황소의 것이 가장좋다. 비위를 보하고 토하거나 설사하는 것을 멎게 하며 소갈과 수종에 좋고 힘줄과 뼈, 허리와 다리를 튼튼하게 한다. 단 죽은 소의 고기는 먹으면 안 된다. 몸에 부스럼이 생기기 때문이다. 소 곱창은 오장을 보하고 비위를 도우며 소갈을 멎.. [전복마을]민속보감 2007.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