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에. 성기가 있는 물고기가 있다. 그것도 두 개씩이나.
사람들은 대부분 물고기의 번식은 알 대신 새끼를 낳는 상어나 고래를 비롯한 몇몇 물고기를 빼고는 체외수정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니까 암컷이 일정한 장소에 알을 낳으면 수컷이 그 알 위에 정액을 뿌려 새끼 물고기가 탄생한다는 것. 그래, 그쯤은 철부지 어린애들도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일이 아니겠는가.
근데, 상어나 고래도 아닌 것이, 생긴 것도 몸이 납작하고 가오리연처럼 마름모꼴로 우스꽝스러운 것이, 두눈은 등쪽에 티눈처럼 동그랗게 툭 튀어나와 있고 주둥이는 배쪽에 붙은 것이, 암수 모두 커다란 성기를 두 개씩이나 가지고 있다? 이 희한하게 생긴 물고기가 바로 가오리와 홍어다.
그렇다면 쌍둥이처럼 닮은 가오리와 홍어를 어떻게 구분할까. DNA 검사를 할 것도 없이 가오리는 주둥이 부분이 둥글거나(목탁 가오리·전기가오리), 약간 모가 나(노랑 가오리·흰가오리·상어가오리)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홍어는 주둥가 뾰족하며, 굵은 꼬리 윗부분에 2개의 지느러미와 가시가 2~4줄 늘어서 있다.
암수 구분을 하는 방법도 그리 어렵지 않다. 가오리와 홍어의 배 지느러미 뒤에 2개의 긴 막대기(교미기) 같은 게 보이면 수컷이고, 그 자리에 구멍이 두 개 있으면 그게 바로 암컷이다. 그런 까닭에 가오리와 홍어는 다른 물고기와는 달리 암컷의 몸 안에서 알이 수정되므로 새끼를 낳는 것이다.
■ 소변을 맑게 해주는 보약음식 가오리가오리와 홍어는 회로 먹거나 여러가지 재료를 넣어 찜을 만들어 먹으면 생긴 것과는 달리 맛이 참 좋다. 하지만 꼬리에는 독성이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자칫 별 생각없이 꼬리를 먹게 되면 가려움증이 생기거나 가슴이 답답해진다. 가오리나 홍어를 식당에서 조리를 할 때 꼬리부분을 곧바로 떼내 버리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사실, 가오리나 홍어나 삭히지 않은 상태에서 조리를 하면 그 맛이 엇비슷한 것처럼 여겨진다. 하지만 홍어는 흔히 날 것으로 먹기 보다는 삭혀서 먹는 것이 대부분이다. 코 끝을 강하게 톡 쏘는 독특한 맛이 일품이기 때문이다. 가오리도 삭히면 톡 쏘는 맛은 나지만 홍어에 비하면 아주 약한 편이다.
그런 까닭에 가오리는 주로 날것을 회로 뜨서 먹거나 찜을 만들어 먹는다. 특히 반쯤 꼬득하게 마른 가오리는 잘게 뜯어내 양념에 무쳐 먹어도 좋고, 내장을 빼낸 뒤 토막을 쳐서 백숙으로 조리해도 그 맛이 기막히다. 하지만 뭐니뭐니 해도 반쯤 꼬득하게 마른 가오리는 양파와 매운고추·버섯·마늘 등을 넣고 찜을 만들어 먹어야 제맛이 난다.
조선시대 명의 허준(1546~1615)이 쓴 <동의보감>에 따르면 가오리는 사람의 건강을 이롭게 도와준다는 뜻의 '익인'이라 불렀다. 특히 가오리는 소변색이 노랗거나, 쌀뜨물처럼 뿌옇거나, 양이 적고 시원치 않거나, 약간 냄새가 난다거나, 뻐근한 통증이 느껴지는 것에 아주 좋다고 되어 있다.
■ 매일 가오리 한 끼 먹으면 관절염·피부미용에 효과"관절염이나 류머티즘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은 가오리를 하루에 한 끼씩 조리해서 먹으면 금방 효과가 나타나지요. 그리고 가오리를 삶아 말린 뒤 가루로 만들어 매일 아침식사 뒤에 먹으면 피부도 고와지고 주름살까지 펴진답니다. 특히 화장이 잘 받지 않거나 얼굴에 검버섯이나 기미, 주근깨가 있는 여성들은 가오리를 자주 먹어야 합니다."
경남 마산 부림시장 건너편 골목길에 가면 간판조차 잘 보이지 않는 허름한 목로주점이 하나 있다. 언뜻 보기에는 이 집이 부림시장에서 장사를 하는 사람들과 부림시장에 장을 보러 나온 사람들이 목이 마를 때 잠시 들러 막걸리 한 잔을 먹으며 힘든 세상사를 늘어놓는 그런 비좁은 주막쯤으로 보인다.
하지만 막상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서면 열댓 명 남짓 앉을만큼 제법 널찍하다. 그리고 주방 들머리에 관음죽을 비롯한 미나리, 수선화, 백합 등 여러 가지 식물들이 저마다 고운 모습을 뽐내고 있어 세상사 시름을 한꺼번에 잊게 해준다. 게다가 막걸리 반되를 시켜도 밑반찬을 푸짐하게 차려주는 주인 아주머니의 인심 또한 넉넉하기 그지 없다.
이 집이 바로 30여 년 앞부터 마산에서 입소문이 난 가오리찜 전문점이다. 이 집 가오리찜(1만원~1만5천원)의 특징은 꼬득하게 반쯤 마른 쫄깃쫄깃한 가오리를 재료로 쓴다는 데 있다. 그리고 매콤하면서도 깔끔한 감칠맛이 맴도는 가오리찜을 먹을 때 소주보다는 커다란 뚝배기에 담긴 막걸리를 사발에 떠서 마시는 재미 또한 쏠쏠하다.
■ 가오리찜 먹고 호호거리며 막걸리도 한사발 마시고 60대쯤으로 보이는 주인 아주머니가 가오리찜을 만드는 방법은 그리 어렵지 않게 보인다. 먼저, 소금물에 살짝 씻어 반쯤 꾸덕하게 말린 가오리를 통째 찜통에 넣은 뒤 멸치 맛국물을 적당히 붓고, 그 위에 송송 썬 매운 고추와 붉은 고추, 양파와 대파, 빻은 마늘, 버섯 등을 올려 한소끔 포옥 찐다.
이어 고춧가루와 실파, 간장, 통깨 등으로 만든 양념장을 김이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가오리 위에 끼얹는다. 그리고 그렇게 한번 더 쪄내 접시에 보기좋게 담기만 하면 그만이다. 이 집 가오리찜의 특징은 매콤한 맛이 맴도는 가오리살이 쫄깃쫄깃거리면서도 씹으면 씹을수록 은은하게 톡톡 쏘는 맛이 일품이다.
가오리찜 한 점 버섯과 함께 집어먹고, 호호거리며 막걸리 한 사발 마시고, 가오리찜 한 점 고추와 함께 찍어먹고, 호호거리며 막걸리 한 사발 마시고, 가오리찜의 매콤한 국물과 양파를 함께 떠먹고, 막걸리 한 사발 마시다 보면 어느새 푸짐하게 담겨있던 가오리찜과 막걸리 뚝배기가 비워지고 없다.
특히, 가오리찜을 다 먹은 뒤 자작하게 남은 발그스럼한 가오리찜 국물에 밥 한공기 비벼먹는 그 맛! 칼칼하면서도 깔끔한 그 뒷맛은 천하일미가 따로 없다. '홍탁삼합'이라며, 막걸리와 돼지고기 수육, 묵은 김치와 함께 먹는, 코끝을 톡 쏘는 잘 삭인 홍어맛은 저리 가라 할 정도의 색다른 맛이다.
아침 저녁으로 제법 옷깃을 여미게 하는 쌀쌀한 바람이 부는 9월의 끝자락. 환절기가 되어서 그런지 갑자기 피부가 꺼칠꺼칠해지면서 기미나 주근깨가 피어난다. 여기저기 뼈마디도 결리고 쑤신다. 이럴 때 김이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가오리찜을 만들어 먹어보자. 금새 얼굴에 윤기가 맴돌면서, 뼈마디의 욱신거림이 스르르 사라지리라.
---------------------------------------------------------------------------
전복마을 바로가기 클릭!클릭!
'[전복마을] 홍어·가오리·간재미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효음식의 진수 참홍어의 그 맛! (0) | 2006.11.06 |
---|---|
흑산도에 돌아온 전설, 홍어 (0) | 2006.11.02 |
홍어어시육 (0) | 2006.09.17 |
홍어의효능 알면 그깟냄새쯤이야! (0) | 2006.09.12 |
발효음식의 최고!홍어삼합만들기(동영상) (0) | 2006.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