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간대 간조선에서 얕은 바다에 이르는 바다 밑 모래진흙에 깊이 30cm 이상 (최대 3m 이상)의 구멍을 파고 들어가 구멍에 물이 들어오면 나와서 부유물질을 먹고산다. 쏙의 구멍형태는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Y'자 혹은 'U'자 형태로 한 쪽을 발로 밟으면 다른 쪽에서 물이 솟아오르는 특징이 있다.
모래갯벌을 살펴보면 작은 구멍이 무수히 보이는 지역이 있다. 겉에서 보기에는 구멍이 작지만 약 5cm 정도만 걷어내면 굵직한 구멍이 나타난다. 이것이 쏙의 서식구멍으로 쏙은 굴착능력이 대단히 좋아서 서식구멍이 깊으므로 흙을 파서 잡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쏙은 습성이 대단히 배타적이기 때문에 자신의 서식구멍 속으로 적이 침입하면 밖으로 밀어내는 성격이 있어 구멍 주변에 바닷물에 푼 된장이나 소금을 슬슬 뿌리고 붓 대롱을 구멍에 집어넣고 흔들면서 천천히 들어 올리면 붓 끝이 구멍 밖으로 나올 무렵 집게다리가 붓 끝을 꽉 쥐어 잡는다. 이 때 잽싸게 붓 대롱을 '쏙' 잡아 뺀다.
쏙은 맛이 구수하면서도 단맛이 더 있어 아이들까지 잘 먹는다. 구어 먹기도 하고 된장국에 넣어 먹기도 하고 튀김으로 먹기도 한다.
비슷한 종류로는 쏙붙이가 있다. 쏙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비슷하게 생겼으나 몸의 길이가 4~5cm 정도로 쏙보다는 작다. 살아가는 환경도 쏙과 아주 흡사해 쏙이 사는 곳에서 산다.
갯가재는 5쌍의 가슴다리 중에서 제2 가슴다리가 사마귀(버마재비, mantis)의 다리처럼 크고 강하여 영명이 mantis shrimp이며 일본명은 “쟈코”이다. 방언으로 털치, 쏙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 |
몸길이 15cm 정도로 머리가슴의 갑각은 뒤쪽이 넓다. 제1 촉각은 3개의 수염으로 갈라지고 제 2 촉각은 소형이나 커다란 비늘조각(鱗片, scale)이 붙어 있다. 가슴다리의 처음 5쌍은 반집게를 이루며 이들 중 제 2 가슴다리가 먹이를 잡기위한 포각(捕脚)을 이룬다. 마지막 가슴다리 3쌍은 가늘고 집게가 없다. 배다리는 크고 가슴의 뒤쪽 4쌍 째에 있다. 꼬리와 꼬리발이 크고 강해서 구멍을 파는 데 쓰인다. 몸 빛깔은 엷은 갈색이나 회백색으로 어두운 색의 점이 산재한다.
서식장소는 일반적으로 수심 10~30m의 내만, 내해의 펄 바닥의 해역에 많으며, 크고 작은 한 쌍의 개구부를 가진 U자형의 서식구멍(巢穴)을 파서 생활한다. 주로 밤에 돌아다니면서 새우류나 게, 작은 물고기 따위를 잡아먹는다. 갯가재는 서식구멍입구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먹이가 가까이 통과하면 도약하여 포각으로 포획하는데 그 사이는 0.03~0.3초로 포획된 먹이는 서식구멍으로 가지고 돌아와 먹는다. 타뢰망(打瀨網)이나 소형 저인망 어업에 의해 주로 어획된다.
알을 낳는 시기는 5∼9월로 암컷은 알이 부화할 때까지 알덩이를 입 부근의 턱다리로 잡고 보호한다. 알집(난소)은 단단한 붉은 나무처럼 생겼고 암컷의 살 속에 들어 있다. 알이 든 암컷이 가장 맛이 좋다. 살은 오래 전부터 초밥 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영양소 구성은 새우와 비슷하지만, 특히 비타민 B1과 B2가 상당히 많다. 또, 갯가재의 속살을 잘 으깨어 종기에 붙여 건조할 때마다 새 것으로 바꾸어 붙이면 종기가 터지고 농을 빨아내며 흔적도 없이 나을 뿐 아니라 간경화(肝硬化)의 복수(腹水)에도 잘 듣는다고 알려져 있다.
http://www.0808.or.kr/shopping/shopping-index.php?c=29
대하 왕새우 구입문의 전복마을
갯가재(쏙새우)구입문의
'[전복마을] 대하·새우 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싱한 자연산 오도리[보리]새우!! 싱싱함이 입맛을 자극해요.. (0) | 2008.08.21 |
---|---|
2008년産 싱싱한 대하새우(왕)새우!! 소금구이가 제맛 !!! (0) | 2008.08.17 |
살아있는 새하와 양념새하젓 (0) | 2007.11.13 |
대하 소금구이-싱싱함이 달콤함으로 입에 찰싹 달라붙네요 (0) | 2007.11.13 |
서해안 대하-요리까지 (0) | 2007.09.16 |